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2309
- Module.symvers
- AWS
- 일곱 난쟁이
- DFS
- tftp-hpa
- uboot
- gui
- tftp 서버
- 백준
- deque
- 디바이스 드라이버
- 한수
- 라즈베리파이3 라즈비안
- STL deque
- 모듈
- 디바이스드라이버
- 라즈베리파이3 ftfp
- dfs recursive
- 최단경로
- 라즈베리파이3
- 라즈베리파이 uboot
- u-boot
- .config
- 인접행렬
- stack
- GPIO
- 라즈비안
- tftp
- putty
- Today
- Total
달공이와 임베디드
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대한 이해 디바이스 드라이버란 커널공간에서 응용프로그램과 하드웨어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. 이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정의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로 커널과 연결된다. 리눅스에서는 모든 것을 파일로 관리한다. 연결되어 있는 하드웨어 장치 또한, 장치 파일(Device file) 로 관리하는 것이다. 그리고 이러한 장치 파일에 대한 컨트롤을 "디바이스 드라이버(Device Driver) 라는 프로그램" 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다. 이 때,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"정해져 있는 하드웨어 제어함수"를 통해 장치를 제어하도록 작성된다.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종류 1) 문자 디바이스 드라이버(chrdev)2) 블록 디바이스 드라이버(blkdev)3)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(netdev)..
라즈베리파이 3B 를 U-boot & TFTP 실행하기 tftp 는 파일을 전송시키는 udp 형식의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. 일반적으로 개발환경에서 다양한 커널을 개발보드에 불러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. tftp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tftp 서버로 사용할 pc 가 필요하다. 서버 pc 에서 통신을 통해 개발보드로 tftp 를 통해 커널이미지를 받아 오는 것이다. 우선 서버 pc 환경을 만들어 보자. Server : PC 우분투 환경에서 tftp 서버 만들기 1) apt-get install tftp-hpa apt-get install tftpd-hpa ( 더이상 tftp 보안상의 이유로 우분투에서 지원하지 않는다. ) 2) vim /etc/default/tftp-hpa ( 그런데, 기본적으로 아래와..
라즈베리파이 3B 를 U-boot 를 통해 실행하기 라즈베리 파이의 부팅 순서는 다음과 같다. 첫번째 부트로더가 SD카드에 있는 두번째 부트로더(bootcode.bin)을 호출한다. 두번째 부트로더가 SD카드에 있는 config.txt를 읽고 실행한다. 두번째 부트로더가 세번째 부트로더(start.elf)를 호출 및 실행하여, ARM Core를 활성화한다. ARM Core가 활성화되면 네번째 부트로더(kernel.img)를 호출, 실행한다. 라즈베리파이 3이 라즈비안(OS)로 실행되기 위한 최소 파일은 다음과 같다. bootcode.bin, start.elf, kernel7.img, bcm2710-rpi-3-b.dtb, overlays (폴더) 라즈베리파이 3이 u-boot 을 통해 라즈비안으로 실행되기..